익스플로러 만큼 악성툴바, 악성코드가 많은 프로그램도 있을까?
특히 공용 PC를 써야하는 사람들(학생, 도서관 이용자 등)은 매일 같이 짜증나는 악성코드들에 시달릴 것이다.
제일 짜증나는 건 검색어를 치면 그걸 복사해서 브라우저 왼쪽이나 하단에 창을 생성해서 추천 웹사이트(광고)를 띄우는 놈들이다. (이게 툴바보다 더해)

우선 포인트월드.
이 프로그램은 하단에 창을 띄우며 적립 어쩌구 낚시를 한다.
이 프로그램이 무서운 점은 제거하려고 하면 재부팅을 시킨다는거다. -_-; (이건 내 경우고, 멈춘다는 사람도 있더라.)
해결 방법은 CTRL+ALT+DEL(컨트롤키, 알트키, 델키를 동시에 누르라는 거)해서 작업관리자를 띄운다음 point_혹은 pworld 같은 걸로 시작하는 수상한 프로세서들을 종료시키면 된다. 그리고 제어판에서 포인트월드 가이드, 포인트월드 두 프로그램을 제거하면 된다. 유사한 프로그램은 mplus(그나마 이 프로그램은 제거할 때 멈추거나 재부팅 시키지는 않는듯.)

다음으로 스마트온
이 프로그램은 포인트월드보단 덜 지독하지만 브라우져 왼쪽을 잘라먹으며 나타난다는 점에서 짜증도는 더욱 심하다.(근데 아래로 나타날때가 더 많은 듯하다.)
요 프로그램은 제어판-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smarton을 제거해주면 된다.
스마트온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cashmall등이 있다.
이름만 다르고 기능은 똑같다. -_-;



Posted by 제로스.
,
부모님 웹서핑용도로 쓰던 (입양한)노스우드 셀러론 2.4G 본체 cpu를 셀러론D 프레스캇 335로 업글하였다.
 기왕이면 노스우드 C계열 펜티엄으로 업글하고 싶었지만 메인보드 FSB 533이라는 압박과 펜4 2.8B 의 생각보다 비싼 가격때문에 포기하고 구할 수 있는 CPU 중에 가장 저렴한 셀D 335를 구매하기로 결정했다.

그러면서 기존에 갖고 있던 써러브레드 2400+, 펜티엄4 프레스캇 530 3.0Ghz의 성능도 측정하였다.
물론 PCMARK04 점수가 CPU의 성능을 모두 나타낸다고 보지는 않지만, 다른 테스트를 진행하자니 귀차니즘~
그래도 참고자료는 될 것이다.
너무 최신버전을 사용하면 저 구형 CPU들이 점수가 적게 나와서 변별력이 떨어질까봐 좀 구형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.

결과는…

노스우드 셀러론 2.4Ghz : 2667
애슬론XP 써러브레드 (샘프론 B아님) 2400+(2G): 2840,
셀러론D 335(2.8G)가 3584,
프레스캇 530(3.0G) 4500

베니스 3000+ (1.8G) 3309 

괄호안은 실클럭이고. 노스우드 셀러론은 제품명이 곧 실클럭이라 따로 표기하지 않았다.

수치상으론 저렇지만 실제로 셀러론 2.4G보다는 써러브레드 2400+가 훨씬 좋다는 걸 체감할 수 있다. 익스플로러가 더 부드럽게 열리며(셀 2.4G 깔린 PC는 윈도우를 새로 깔았음에도) 기타 작동도 매끄럽다. 아무래도 L2 캐쉬 용량차이가 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 싶다.
하지만 못 참을 정도는 아님.

한편 셀D 335는 확실히 빠릿하다. L2 캐쉬 용량(256K)이 같으니 확실히 클럭빨로 써러를 눌러버림. (하지만 프레스캇 코어라 전기를 많이 먹는다는 거, 그러나 어차피 부모님 인터넷 얼마 안 하시니 뭐…)
물론 동클럭 펜티엄에 비하면 많이 떨어지고 플래쉬 많은 싸이트에서는 버벅거리지만; 그래도 6000원에 이 정도면 매우 만족.
특히 인코딩에서 써러브레드보다는 거의 1.5배 정도 빠르다.(정확한 수치는 아니고 느낌)

오늘(2009/04/08) 알게 된 사실인데 셀러론D 프레스캇 335는 플래쉬가 많은 사이트에선 써러브레드 2400+보다 버벅거린다.
제트파일 홈페이지(플래쉬 참 많이도 썼더라)에 들어가면 셀D는 CPU점유율 99%~100% 찍으면서 버벅대는데, 써러는 35~40% 정도로 안정적. 대체 이유가 뭘까? cpu 클럭도, FSB도, 벤치마크 결과도 셀D가 높고, 램용량이랑 L2캐쉬는 같은데?(윈도우는 셀D쪽이 깨끗함)일단 생각나는 이유는 세 가지.
첫째,  L1 캐쉬의 양 차이. L2 캐쉬량은 두 프로세서가 256K로 같으나, L1캐쉬가 써러는 128K인데 반해 셀D는 16K
둘째, 그래픽카드 차이(솔직히 이건 좀 아닌 것 같지만;). 써러시스템은 AGP 9550, 셀D는 인텔 익스트림 그래픽스2(내장그래픽)
셋째, CPU 방열이 안 되고 있다. (이것도 좀 아닌 것 같지만.) 현재 예전 노스셀 쿨러+방열판을 계속 쓰면서 80mm 팬으로 보조쿨링해주는 구조다 보니 쿨링이 안 되고 있기 때문.

셋 중 하나 같은데, 일단 외장 그래픽 카드를 꽂아보면 답이 나오겠으나 브랜드PC 메인보드 아니랄까봐 외장 그래픽 슬롯이 없다. 외장그래픽을 쓰려면 PCI 그래픽을 사야 할판이라…-_-;

한편 슈퍼파이에서 노스셀 2.4가 애슬론xp 2400+ 보다 빠른 건 충격과 공포.  -_-; 슈퍼파이가 클럭빨이 많이 좌우 한다는 건 알고 있었으나, 그래도 셀 2.4한테 당할 줄은 몰랐다. 512K연산하는데 써러2400으로 1분 4~6초 정도 나오는데 셀2.4는 50초대 나온다. 아; 이래뵈도 써러가 아직 메인컴이고 써러는 나올때 메인 스트림급이었는데 보급형 셀에게 밀리다니 ㅠㅠ (하긴 시더밀도 지금 리마한테 떡실신일텐데 뭐;)
베니스 3000+는 21초.

이 글을…구형 PC 업글을 고민 중인 분들에게 바칩니다. -_-;

이 포스트는 업글 or 기변 할 때마다 계속 추가 예정…

Posted by 제로스.
,





현존하는 위닝카오스중에 가장 사용하기 좋은 프로그램이다.
위닝카오스는 몇 가지 버전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 전에 사용했던 것은 MB_OUT이라고 써져 있던 프로그램이다. (그 점이 더욱 맘에 들어서 애용했었다.)
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알고 나서 이걸로 바꿈.
다른 위닝카오스 프로그램에 비해 제일 좋은 점은 기능 활성/비활성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는 점이다.
위닝카오스를  쓰면, 채팅이 좀 불편해진다. 특히 쌍체라 사용땜에 문자키를 단축키로 사용하면 "구55ㅗㄴ, 디페4, 5ㅏㄴ티" 처럼 외계어를 치게 되거나 꿀먹은 벙어리가 되는데, 이 프로램의 활성/비활성 단축키를 지정하면 채팅을 한결 원활하게 할 수 있다.
(예전에는 정 채팅을 하고 싶으면 alt+tab누르고 윈도우 화면으로 나와서 비활성화를 클릭해줘야 했다.)

단점은 가끔 저 단축키를 사용하고나서 다시 누르는 걸 잊어서, 포탈을 못 타거나 안티를 못 빨거나, 디펠을 못해서 죽는 경우가 있다는건데 뭐 그정도는 감수해야지.

개발자님이 누군지 알 수 없지만,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.
근데 D로 구현했다는 게 대체 뭔지 모르겠다. 프로그래머인 친구에게 묻자. "델파이?" 이러는데. 델파이로도 이런 거 만드나?
델파이는 공학용 프로그램인줄 알았는데(통계용이었던가;)


Posted by 제로스.
,